Statement

Uncanny Gap

[Korean]

어느 날 나 자신을 촬영하였다. 혼자 타이머를 맞추고 촬영하기에 의도하지 않았던 우연으로 화면 속에는 얼굴이 제외된 몸만 남아있었다. 그리고 얼굴이 사라진 몸은 낯선 이방인으로 나를 응시하고 있었다. 때로는 그 신체가 그저 덩어리로 느껴지기도 했다. 그 때 그 몸은 어떤 경계 바깥에 있다고 느꼈다. 가장 가까운 존재라 믿었던 자신이 낯설게 느껴졌던 찰나의 경험은 불편한 생경함과 동시에 매혹적이었다.

화면 밖 촬영의 대상인 내가 있다. 그리고 사진 속 낯선 몸은 주체를 흔드는 대상이다. 그것은 이질적이며 불안정하다. 안정된 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그것을 위협하는 것들을 화면 속으로 추방시킨다. 그리고 그 곳으로 내몰린 덩어리들은 여전히 모호한 경계 주변에 남아있다. 추방된 것들은 계속 경계를 허무는 시도를 하고 주체는 그것들을 끊임없이 거부하는 과정에서 경계가 유지되며 오히려 주체는 이 위협을 통해 더 단단한 위치를 만든다.

여기서 회화를 통해 한번 더 신체를 변형시켜 화면 안과 밖의 신체를 분리하고자 하는 시도를 한다. 먼저 작업 초기 단계에서 사진을 수백 번 반복하여 촬영한다. 그 과정을 거치며 주체는 처음과는 달리 사진의 대상-몸이라기보다는 사물의 역할-로 소비된다. 그리고 회화를 통해 부분이 끊기기도 하고 왜곡되기도 하며 주체는 점점 누구의 몸인지 알 수 없는 채로 남겨진다. 하지만 결국 주체와 화면 속 신체는 뒤엉켜 그것이 완벽히 명쾌하게 분리될 수 없는 시도였음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 몸은 그 모호한 경계 어딘가에서 주체와 함께 정지한 순간으로 남는다. 그 과정에서 그 속에 내재되어있던 불안한 타자가 경계를 흐리며 드러나기 시작한다.

[English]

One day, I photographed myself. As I put the timer and photographed myself, by chance only the body remains on the screen. And the faceless body gazed at me like a stranger. Sometimes this body seemed to me only a mass. It then seemed to be beyond a certain border. The experience of the moment when I felt like a stranger to myself as I believed I was the closest being gave a sense of strangeness, discomfort and fascination.

There is me, the object of the shot outside the screen. And the foreign body in the photo is an object that shakes the subject. It is heterogeneous and unstable. In order to acquire a stable subjectivity, it expels what threatens him inside the screen. And the masses pushed inside still remain around ambiguous borders. Those who are expelled constantly try to destroy the borders, while the subject keeps pushing back these attempts; which maintains the borders, and through this threat, the subject takes a more solid position.

At this point, I transform the body again by means of painting so as to separate the body in the screen and the one outside. First, I take hundreds of photos for the first step of the job. Through this process, the subject is consumed as the object of the photo – the role of the object rather than the body – unlike the beginning. Sometimes cutting itself, sometimes deforming itself partially, the body gradually remains with a body which we ignore who it belong to. Although the subject and the body inside the screen are intertwined, we manage to realize that this complete separation attempt was unsuccessful. And this body remains like a moment in suspense with the subject somewhere on these ambiguous borders. In this process, another, anxious and immanent begins to appear, blurring the boundaries.

[French]

Un jour, je me suis photographiée. Comme j’ai mis moi-même le retardateur et me suis photographiée, le hasard a voulu qu’il ne reste sur l’écran que le corps. Et le corps dépourvu de visage me contemplait comme une étrangère. Quelquefois, ce corps ne me semblait qu’une masse, Il me paraissait alors se trouver au-delà d’une certaine frontière. L’expérience de l’instant où je me sentais étrangère à moi-même alors que je me croyais comme l’être la plus proche me procurait à la fois un sentiment d’étrangeté, d’inconfort et de fascination.

Il y a moi, l’objet de la prise de vues à l’extérieur de l’écran. Et le corps étranger sur la photo est un objet qui secoue le sujet. Il est hétérogène et instable. Afin d’acquérir une subjectivité stable, il expulse ce qui le menace à l’intérieur de l’écran. Et les masses poussées à l’intérieur restent encore aux alentours des frontières ambigües. Ceux qui sont expulsés tentent sans cesse de détruire les frontières, tandis que le sujet n’arrête pas de repousser ces tentatives ; ce qui maintient les frontières, et à travers cette menace, le sujet prend une position plus solide.

À ce stade, je transforme de nouveau le corps au moyen de la peinture de manière à séparer le corps dans l’écran et celui à l’extérieur. D’abord, je prends des centaines de photos pour la première étape du travail. A travers ce processus, le sujet se consomme comme objet de la photo – le rôle de l’objet plutôt que du corps – contrairement au début. Tantôt se coupant, tantôt se déformant en partie, le corps demeure peu à peu avec un corps dont on ignore l’appartenance. Bien que le sujet et le corps à l’intérieur de l’écran soient entremêlés, nous parvenons à nous rendre compte que cette tentative de séparation complète n’a pas abouti. Et ce corps reste comme un instant en suspens avec le sujet quelque part sur ces frontières ambigües. Dans ce processus, un autre, inquiet et immanent se met à apparaître, brouillant les frontières.

Garden of Mistrust

[Korean]

작업을 위해 처음 프랑스에 도착했을 때 그 곳의 아름다운 식물원과 공원들은 자연스럽고 자유로워 보였다. 시간이 지나 그곳의 언어에 점점 익숙해지며 정원의 많은 식물들이 사실은 그 곳이 자생지가 아니고 여러 대륙에서 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것들은 플랜트헌터(plant hunter)라는 직업에 의해 주로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등 식민지대륙에서 온 제국의 전리품이었다. 귀족들은 유리의 발견과 함께 이 값진 식물들을 경쟁적으로 온실 속에 전시하였다. 그 때의 진귀했던 식물들은 이제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흔한 존재가 되었다.

새로운 것이 도착하여 기존의 것을 흐리게 하고 다시 새로운 경계를 만들어 나가는 부분이 흥미로웠다. 오래 전의 풍경을 상상해보았다. 서로 다른 대륙의 식물들이 수집되어 바로 옆에서 자라고 꽃피운다. 새로운 것들은 시간이 지나며 점점 현지에 맞는 모습으로 변한다. 부러지고 우거지고 새로 엮이고 색이 변하는 등 이방의 것은 기존 사회 속에 들어와 혼란을 만들어내며 다른 풍경을 이루어낸다. 그 과정에서 새로운 것은 기존의 것을 몰아내려 하고 정착했던 것은 낯선 것을 경계하며 긴장을 유지한다. 그리고 사라지는 것들, 떠도는 것들도 생겨난다.

[English]

When I first arrived in France, the beautiful botanical gardens and parks seemed natural and free. Later, as I became accustomed to the language of the place, I discovered that the plants in the garden were not indigenous but had been brought in from various continents in the late-nineteenth century. They were trophies of the empire that ‘plant hunters’ had removed from colonised lands. It was a competitive fad among the nobility to display them in glasshouses, which had started to become conventional at the time.

Learning this historical background, I became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the new arrival that blurs that original boundaries and expands the frontiers. The deracinated plants from different continents were transplanted right next to the indigenous species, but they thrived and blossomed nevertheless. They reminded me of the lives of migrants who both adapt to and transform new societies. Whether they break, prosper, intertwine, or fade away, these foreign beings flow into the status quo, cause chaos, and create a new scene at the end. The new attempt to eradicate the old, and the settled guard against the strange as they maintain a tension between them. Some disappear, while others wander on.